-
한국경제 향후 전망Economy 2019. 10. 15. 17:09
한국경제 전망 요약
-미국과 중국의 호황은 끝나고 무역전쟁은 심화될 전망에서 수출부진.
-세계경제 침체 속에서 향후 GDP 성장률은 1.8~2%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
-디플레이션, 생산가능인구 감소.
-환율은 1200~1250원 유지
-주식시장 보합, 회사채금리 상승, 이자율 하락.
-자금이 강남 일대의 부동산 시장으로 수요가 몰릴 가능성 존재.
-금의 경우 세계경제의 침체가 지속된다면 1온스당 1700달러 가능.
한국경제 GDP 순위
IMF에서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2019년 국가별 GDP에서 한국은 11위를 나타내었으며,
미국 1위, 중국 2위를 나타내며 현재 무역전쟁이 경제패권 전쟁임을 시사해 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출처: http://worldpopulationreview.com/countries/countries-by-gdp/)
GDP Ranked by Country 2019
What are the countries with the largest economies in the world? Here is a list of the top ten countries with the highest GDP: United States (GDP: 21.41 trillion) China (GDP: 15.54 trillion) Japan (GDP: 5.36 trillion) Germany (GDP: 4.42 trillion) India (GDP
worldpopulationreview.com
한국의 경제 전망으로는 소규모개방경제로서 중국에 대한 경제의존도가 높아진 상황에서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으로 인해 무역수지에 악영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더욱이 일본과의 반도체로 시작된 무역전쟁이
내년에도 더욱 심해질 것으로 생각 됩니다.
한국경제 GDP 성장률
아래의 그림은 1960년도 이후 한국의 GDP 성장률을 나타내는 그래프로 전반적인 추세는 하향추세를
나타내며 국가 자체적인 성장모멘텀이 하락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18~2019년의 경우 주요 산업(반도체, 조선, 건설 등)들의 모멘텀 하락이 가장 큰 요인이었으며
기존 산업들에 대한 조정이 아직 제대로 이루어 지고 있지 않아, 추후 상승하기 위한 동력이
미비하다고 생각합니다.
(출처: https://www.google.com/publicdata/explore?ds=d5bncppjof8f9_&hl=ko)
세계개발지표 - Google Public Data Explorer
www.google.com
아래 그래프는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에서 발표한 한국 과거 GDP 성장률과 예상성장률을 그래프화
시킨 자료로 하락추세를 더욱 잘 나타내며 향후 성장률 상승에 대한 깊은 의문점을 제시 합니다.
생산성을 보유한 인구감소와 과거 급성장에 따른 문제점 대두, 새로운 사회 분위기에서의 마찰 등
성장요인보다는 일본과 같이 잃어버린 시대(경제 침체기)를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 됩니다.
(출처: 2019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미국, 중국, 일본, 한국의 GDP 성장률을 비교해 보았을 때, 2012년 이후 한국의 GDP 성장률은 가장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중국도 역시 과거 높은 GDP 성장률을 보였던 시대로 부터 이제는 6% 수준의
GDP 성장률을 나타낼 것이며, 미국우선주의에 따라 정책을 펼친 트럼프정부 역시 2018년~2019년
경제호황을 마치고 2020년에는 경제가 침체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은 세금완화, 협박성 해외투자 유치 등으로 경제가 좋았지만, 무역전쟁의 여파로 2020년은 경기하락 전망)
한국경제 무역수지
2014년 이후 무역수지는 증가추세를 보였으나, 2017년 부터 하락추세를 나타내고 있음.
이는 반도체, 조선산업의 침체로 인해 발생되었으며, 무역수지에서 점유율이 비정상적으로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향후 세계적인 시장 분위기에 따라 무역수지가 변동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35)
국가지표체계
--> 그래프 한국은행「국제수지동향」 통계표 통계표명 : 경상수지 및 무역수지 [단위 : 백만불] 경상수지 및 무역수지 통계표 201811월 201812월 201901월 201902월 201903월 201904월 201905월 201906월 201907월 201908월 경상수지경상수지 5,224 4,819 2,825 3,602 4,820 -665 4,949 6,337 6,949 - 상품수지 7,486 6,529 5,662 5,479 8,467 5,66
www.index.go.kr
반도체시장 싸이클과 조선산업의 국가별 수주현황에 따라 무역수지 및 한국의 경제현황이
달라질 것입니다.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현황: 백신과 변종 (0) 2020.12.15 2020 09 19 (0) 2020.09.20 경제 현황 20200726 (0) 2020.08.02 무역전쟁_중국과 미국은 어디로 가는가? (0) 2018.07.12